수동으로 로컬 디렉토리와 Github 연동하기
최근, 내가 꼭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생겨 프론트엔드 1명 백엔드 1명 구성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.
깃허브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던 중 일반적으로 clone받는 방식말고, “로컬 디렉토리와 연동하는 방법이 없을까?” 라는 궁금증에서 해당 방법을 찾아보고 적용하여 블로그로 기록해두려 한다.
우선,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은 디렉토리를 생성해준다.
터미널에서 생성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 위치로 이동 후
mkdir {프로젝트 디렉토리 네임}
를 입력한다.터미널에
ls
를 입력하면,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.cd {프로젝트 디렉토리 네임}
명령어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해당 디렉토리에는
git
파일이 없기때문에 깃을 연동하기 위해git init
명령어로 git파일을 생성해준다.ls -al
명령어를 통하여.git
이라는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이제 깃허브로 이동하여, 프로젝트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주자.
생성된 레포지토리의 링크를 복사하여 터미널에서 좀전에 생성한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경로를 이동한 뒤 ```git remote add origin {레포지토리 링크}를 입력하면 로컬 디렉토리와 레포지토리가 연동될 것이다.
하지만…
일반적으로는 레포지토리를 생성 후 clone 받은 디렉토리에서 작업하거나, 코드파일을 넣어주는 것이 더 편하므로.. 대부분이 clone을 이용하여 사용한다.
만약 해당 방식이 어렵고 번거롭다..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자 😃